뉴스 / 미디어
-
공급망 [소비·수출 부진 -0.4% 역성장… 올해 반도체·中 경기회복에 달렸다] - 2023-01-27
등록일 : 2023-02-08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년 반 만에 역성장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 둔화로 수출이 부진하고 되살아나던 민간 소비가 다시 위축된 영향이다. 올해도 반도체 등 주력 수출품의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어서 1%대 성장률마저 경보음이 켜졌다.
-
공급망 [무협 "美 공급망 핵심품목 中의존도 여전…46개는 100% 의존"] - 2023.01.27
등록일 : 2023-02-08
미국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지난 4년간 낮아졌지만, 공급망 핵심품목의 의존도는 오히려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6개 품목은 100% 중국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국제 & 경제 [중국 코로나 봉쇄 종료, 세계 경제에 약일까 독일까] - 2023-01-27
등록일 : 2023-02-08
중국 당국의 갑작스러운 코로나 봉쇄조치 종료는 올 한 해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서, 앞으로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
-
항공 [연초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운임 지수 여전히 하락세 ... 3월 반등 기대감 사라지나?] - 2023.01.26
등록일 : 2023-02-08
2023년 항공화물 시장이 ‘상저하고’의 예상이 보편적인 전망으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일부 3월 반등설이 더해지면서, 기대감으로 팽배해지고 있으나, “이는 희망 사항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
해상 [KOTRA, “미국 '컨' 해운 현황 및 2023년 글로벌 동향 전망” 경제통상 리포트 발표 '주목'] - 2023.01.
등록일 : 2023-02-08
KOTRA는 최근 “미국 컨테이너 해운 현황 및 2023년 글로벌 동향 전망” 경제통상 리포트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작년 12월 미국 컨테이너 수입 물량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 중국, 한국, 인도 등으로부터 컨테이너 수입물량 감소세가 확연하다. 미 서부 LA, 롱비치항 등의 미국 컨테이너 처리 지연 상황이 호전 중이다. 컨테이너 해운비용(중국 ⇒ 미국 서부 LA)이 급격히 하락했다. 2023년 해운물류 안정화 전망 속 리세션, 지...
-
국제 & 경제 [유엔 “올해 세계 성장률 1.9% 전망…수십년 만에 가장 낮아”] - 2023.01.26
등록일 : 2023-02-08
세계 경제의 성장률이 낮을 것이란 유엔(UN)의 전망이 나왔다. 인플레이션과 지정학적 위기, 각국 중앙은행들의 통화긴축 부작용 등 위험 요인들이 여전해 일부 국가는 경기침체를 피하지 못할 것이란 이유다.
-
국제 & 경제 [UN “中 성장률 1%p 떨어지면 韓 성장률도 0.2%p 하락”] - 2023.01.29
등록일 : 2023-02-08
올해 중국 성장률이 1%포인트(p) 내려가면 한국 성장률도 0.2%p가량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
국제&경제 [WSJ "유럽경제, 짧은 회복 후 신용 악화 겪을 것"] - 2023.01.25
등록일 : 2023-02-08
올해 유로존의 경제가 짧은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금리 인상 효과가 뒤늦게 나타나며 신용 악화를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경제 회복의 진정한 걸림돌은 에너지 위기가 아닌 40년 만의 급격한 긴축이라는 진단이다.
-
국제 & 경제 ["경제 주요 동력 돼야"…또 '소비' 강조한 中] - 2023.01.29
등록일 : 2023-02-08
중국 국무원이 연초부터 안정적 경제 회복을 위한 소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춘제(음력설) 연휴 기간의 관광 수요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근접하게 회복됨에 따라 중국 당국은 내수 확대에 더욱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
국제 & 경제 [美 경제 주춧돌 소비 '흔들'…일각선 "롤링리세션 시작됐다"] - 2023.01.2
등록일 : 2023-02-08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개인 소비가 급감했다는 지표가 잇따르면서 미국이 경기 둔화의 한 형태인 ‘롤링리세션(순차침체·Rolling Recession)’에 이미 돌입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롤링리세션은 경제가 일시에 침체로 빠져드는 대신, 한 분야나 지역에서 시작된 둔화가 마치 도미노처럼 다른 부문으로 영향을 미치는 형태의 경기 둔화를 말한다. 공식적으로 경기 침체가 선언되지 않을 수 있지만, 해당 부문의 체감 경기 악화는 뚜렷하다.
-
[EUSU WEEKLY NEWS] 2023' WEEK 04 ESL WEEKLY LOGISTICS & NEWS
등록일 : 2023-02-08
최신 물류동향과 세계 경제 소식을 확인하세요😊
-
물류 [중국, 그리고 베트남…글로벌 물류의 다음 목적지는? ] - 2023.01.26
등록일 : 2023-02-08
글로벌 물류 시장이 심상치 않다. 중국에 몰렸던 글로벌 기업들이 거점을 동남아 지역, 그중에서도 베트남으로 대거 옮기면서 물류기업들 역시 덩달아 베트남 시장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확대에 나서고 있다. 중국, 그리고 베트남으로 이어지고 있는 글로벌 물류의 다음 목적지로는 또 다른 거대한 대륙 인도와 가능성의 땅 인도네시아, 그리고 글로벌 무역의 중심지인 싱가포르 등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글로벌 물류거점을 향한 성공적인 도전을 위해서...
-
해상 [조승환 해수부 장관 “HMM 인수적격자, 물류 시너지 낼 수 있는 국내 대기업 바람직” (종합)] - 2023.01.25
등록일 : 2023-02-08
HMM을 인수할 적격 기업의 조건은 ‘해운업을 키울 의지와 역량이 있는 기업’이다. ‘역량’의 영역에선 적어도 ‘국내 물류 네트워크와 접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금융자본보다는 해운뿐만 아니라 물류까지 큰 틀에서 국내 산업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대)기업이 국익에 부합한다고 본다. HMM이 유일한 국적선사라는 점에서 외국계 기업, 사모펀드 등은 적합한 인수 주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
항공 [중국발 항공화물 설 연휴 기대감 무너져 ... 운임 하락세로 2019년 수준 근접] - 2023.01.18
등록일 : 2023-02-08
중국 항공화물 시장이 다음주 새해 춘절을 앞두고 여전히 운임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내 주요 제조공장들이 (예상한 것처럼) 이미 문을 닫으면서 수요가 부진해지면서 중국발 주요 메인 교역노선의 운임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
해운 [올해 해운시장 최대리스크는 ‘금리 상승·경기 침체’] - 2023-01-26
등록일 : 2023-02-08
올해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가 국내 해운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강달러(원화 약세)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일 거란 분석이 나왔다.
-
해상 [“공급조절력 상승” 바닥운임 재연 가능성 낮다] - 2023-01-20
등록일 : 2023-02-08
시장 과점화로 소수선사 입김 세져 항만물동량 2.3% 증가 전망 올해 컨테이너선 시장 운임은 수요가 아닌 선사들의 공급 조절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 나왔다. 지난 11일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3 해양수산전망대회에서 해양수산개발원(KMI) 고병우 해운연구본부장은 시장이 악화하더라도 손익분기점 이하로 운임이 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
-
국제 & 경제 ["中경제, 2분기부터 회복…올 세계경제 원동력 될듯"]- - 2023.01.19
등록일 : 2023-02-08
18일(현지 시간)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인 다보스포럼에서는 올해 전 세계 경제에 대한 조심스러운 낙관론이 고개를 들었다. 지난해 말 3년여간 이어온 고강도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폐기한 중국 경제가 상반기부터는 가파르게 반등하고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도 약화했다는 희망 섞인 전망이 제기됐다. 반면 미국의 부채 한도 갈등이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위험 요인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
국제 & 경제 [‘지구종말시계' 90초 남았다…3년 만에 10초 앞당겨져] - 2023.01.2
등록일 : 2023-02-08
미국 핵과학자회(BAS)가 24일(현지 시간) '지구 종말(둠스데이) 시계'의 초침을 자정(파멸) 쪽으로 10초 앞당겼다. 이로써 지구 종말까지 남은 시간은 불과 90초로 줄어들었다.
-
국제 & 경제 [수익률 美 추월한 유럽증시, 이유는?] - 2023.01.18
등록일 : 2023-02-0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경제난에 빠진 것으로 여겨지던 유럽의 증시가 최근 살아나면서 오히려 미국 증시의 수익률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보다 유럽의 경제 상황이 안 좋다는 통상적인 관측과 달리 최근 3개월간 증시 수익률에서 유럽이 미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10월 10일 장 마감 이후 지난 10일까지 3개월간 독일 DAX 지수는 20.38%, 프랑스 CAC 지수는 17.61% 상승해...
-
국제 & 경제 [중국의 아찔한 인구 내리막길… “2050년 신생아 수, 인도 3분의 1로 급감”] - 2023.01.20
등록일 : 2023-02-08
효과적인 출산 지원 정책이 없다면 중국의 신생아 수가 2050년 인도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 경우 중국의 2050년 중위연령은 50세로 인도 대비 12세 넘게 높아져 경제에 큰 타격을 안길 것이란 분석이다.